Wireless Access Point
라즈베리파이에 Access Point를 만드는 방법(표현이 맞는지 모르겠지만)이 Routed와 Bridged 방식이 있는데
Bridged Wireless Access Point는 아래 그림과 같이 와이파이 확장기처럼 작동하고
+- RPi -------+
+---+ 10.10.0.2 | +- Laptop ----+
| | WLAN AP +-))) (((-+ WLAN Client |
| | Bridge | | 10.10.0.5 |
| +-------------+ +-------------+
+- Router ----+ |
| Firewall | | +- PC#2 ------+
(Internet)---WAN-+ DHCP server +-LAN-+---+ 10.10.0.3 |
| 10.10.0.1 | | +-------------+
+-------------+ |
| +- PC#1 ------+
+---+ 10.10.0.4 |
+-------------+
Routed Wireless Access Point는 새로 내부망을 만드는 방식이다.
+- RPi -------+
+---+ 10.10.0.2 | +- Laptop ----+
| | WLAN AP +-))) (((-+ WLAN Client |
| | 192.168.4.1 | | 192.168.4.2 |
| +-------------+ +-------------+
+- Router ----+ |
| Firewall | | +- PC#2 ------+
(Internet)---WAN-+ DHCP server +-LAN-+---+ 10.10.0.3 |
| 10.10.0.1 | | +-------------+
+-------------+ |
| +- PC#1 ------+
+---+ 10.10.0.4 |
+-------------+
Routed 방식은 Bridged 방식에서 몇가지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Bridged 방식으로 하였음
Bridged Wireless Access Point 라즈베리 파이 3 이상 또는 라즈베리 파이 제로 W의 내장 무선 기능을 사용하거나
Access Point Mode를 지원하는 적절한 USB 무선 동글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음
Install AP and Management Software
hostapd 패키지 설치가 필요함
sudo apt install hostapd
무선 액세스 지점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Raspberry Pi가 부팅될 때 시작하도록 설정
sudo systemctl unmask hostapd
sudo systemctl enable hostapd
Setup the Network Bridge
다음 명령어로 파일을 생성하여 br0이라는 브리지 네트워크 장치를 추가
sudo nano /etc/systemd/network/bridge-br0.netdev
[NetDev]
Name=br0
Kind=bridge
다음 파일을 생성하여 이더넷 인터페이스(eth0)를 브리지 구성원으로 추가하여 이더넷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
sudo nano /etc/systemd/network/br0-member-eth0.network
[Match]
Name=eth0
[Network]
Bridge=br0
systemd-networkd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Raspberry Pi가 부팅될 때 브리지를 만들고 실행
sudo systemctl enable systemd-networkd
Define the bridge device IP configuration
Raspberry Pi의 DHCP 클라이언트인 dhcpcd는 모든 활성 인터페이스의 IP 주소를 자동으로 요청함
따라서 eth0 및 wlan0 인터페이스가 처리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DHCP를 통해 dhcpcd가 br0만 구성하도록 해야 함
sudo nano /etc/dhcpcd.conf
시작 부분에 작성하기,"interface xxx line"가 있다면 그 위에 작성
denyinterfaces wlan0 eth0
파일의 마지막에 작성
interface br0
Ensure Wireless Operation
sudo nano /etc/hostapd/hostapd.conf
country_code=GB
interface=wlan0
bridge=br0
ssid=NameOfNetwork
hw_mode=g
channel=7
macaddr_acl=0
auth_algs=1
ignore_broadcast_ssid=0
wpa=2
wpa_passphrase=AardvarkBadgerHedgehog
wpa_key_mgmt=WPA-PSK
wpa_pairwise=TKIP
rsn_pairwise=CCMP
country_code는 위키백과 참조
ssid는 wifi 이름
hw_mode는
- a = IEEE 802.11a (5 GHz) (Raspberry Pi 3B+ onwards)
- b = IEEE 802.11b (2.4 GHz)
- g = IEEE 802.11g (2.4 GHz)
wpa_passphrase는 비밀번호 설정
Rasberry Pi를 다시 시작하고 무선 액세스 지점을 자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
sudo systemctl reboot
사실 이렇게 만들어 봤자 신호가 너무 약해서 공유기를 대체할 수는 없는 것 같음
방 안에서 거실에 있는 와이파이 신호가 약할 때나 사용할 수 있을 듯
사실 공식문서 번역한 수준이고 모든 명령어 하나하나 뜯어보지 않아서 포스팅하기에 좀 부끄럽지만
다른 포스팅을 보는 것 보다 공식문서 보는게 좋고 (다른 포스팅 따라해봤지만 안됨)
번역 된 포스팅을 본적이 없어서 포스팅 하게 되었음
참조문헌
'etc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 번에 스캔한 두 페이지 이미지, 간편하게 분할하기 (Feat. vFlat) (0) | 2024.11.07 |
---|---|
스캔한 도서를 pdf로 만들어 보자 (image to pdf) (0) | 2024.10.29 |
지그재그 지그비 zigbee (0) | 2022.07.10 |
개발자를 위한 구글링 팁 (0) | 2021.11.11 |
정규 표현식(Regex)를 소개합니다 (0) | 2021.10.29 |